Python

용어 정리중

JYES 2019. 12. 20. 17:41

# List []

대괄호 이용하여 저장 / 값 변경 가능(mutable) / 

 

# .append()

List에 추가 / 추가하고자 하는 List가 미리 선언되어있어야 함

 

# del list[4]

list의 인덱스 4번이 삭제됨

 

# list.sort()

list의 데이터가 가나다 순으로 정렬됨

 

# list.count()

()안의 값이 몇 개인지 카운트 함

 

# len(list)

list의 값이 총 몇 개인지 셈

 

# tuple ()

소괄호 이용하여 저장/ 값 변경 불가능(immutable) / 괄호를 사용하지 않아도 가능

 

# type()

()안의 값의 형식을 알려줌 ex) int, float, string, list, tuple ...

 

# '{}'.format()

()안에 든 값을 {}에 넣어준다. format을 신경쓸 필요 없어 용이

 

# index

첫글자부터 세면 0부터 순차적으로 1, 2, ...카운트

마지막글자부터 세면 -1부터 순차적으로 -2, -3, ...카운트

 

# slicing

[1:4] 두번째글자부터 네번째글자까지 잘라내어 출력

 

# string.split()

()안에 문자 기준으로 나누어져서 저장됨 / 공백이면 스페이스, 탭, 엔터 등을 기준으로 나누어짐

 

# print('  ', end='  ')

print하고자 하는 글자 끝에 end에 적힌 것이 붙어서 출력된다.

 

# range()

()안에 숫자 한개 넣으면, 0부터 넣은 숫자까지, (3,5)인 경우, 3부터 5까지 값을 갖게됨

 

# operator

 (a) count=count+1    (b) count += 1

 (a)와 (b)는 같은 의미

**2 : 제곱, **3 : 세제곱, // : 몫, % : 나머지

문자열로도 +, *이 가능하다.

 

# 비교 연산자

==     !=     <=     >=     <     >

결과 : True, False

 

 # for문 / if문 / if-else문 / while문 구조

- while 문 사용시 무한 루프에 갇히게 되면, ctrl + c 를 눌러 강제 종료할 수 있다.
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딕셔너리 자료형  (1) 2021.07.19
DATA TYPE  (0) 2019.12.23